목록❤︎❤︎ (59)
얼레벌레
jquery 사용법 $('선택자').함수(function(){ $('선택요소').메서드(); }) 효과 메서드 ▪️ show(), hide(), toggle() : 나타나고, 사라지고, 토글 ▪️ slideDown(), slideUp(), slideToggle() : 서서히 내려오고, 서서히 올라가고, 서서히 토글 ▪️ fadeIn(), fadeOut(), fadeToggle() : opacity가 진해지고, opacity가 없어지고, opacity 토글 ❗️괄호 사이에 ms단위의 초를 기재해 시간조절 가능 show hide toggle Box 1 slideDown slideUp slideToggle Box 2 fadeIn fadeOut fadeToggle Box 3 a { text-decoration:..
객체는 상태를 나타내는 프로퍼티와 동작을 나타내는 메서드를 묶은 복합적인 자료구조임. 따라서 프로퍼티를 참조하고 변경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 때 자신이 속한 객체를 가리키는 식별자를 참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this this 자신이 속한 객체 또는 자신이 생성할 인스턴스를 가리키는 자기 참고 변수(self-referencing variable) → this를 통해 자신이 속한 객체 또는 자신이 생성할 인스턴스의 프로퍼티나 메서드를 참조할 수 있다. ❗️ this 바인딩은 함수 호출 방식에 의해 동적으로 결정된다. // 전역에서 this = 전역 객체 window console.log(this); // window // 일반 함수 내부의 this = 전역 객체 window // strict mode..

개발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발생한 암묵적 전역으로 오류 발생 가능 => strict mode 사용 strict mode 적용 시 전역의 선두(스크립트 전체에 적용) 또는 함수 몸체의 선두(해당 함수와 중첩 함수에 적용)에 'use strict'; 추가 ✔️ strict mode는 - 함수 단위로 적용 X - 스크립트 전체에 적용 X ⇨ 즉시 실행 함수로 감싼 스크립트 단위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함! 🔻 strict mode를 통해 발생되는 에러 ▪️ 암묵적 전역 ReferenceError ▪️ 변수, 함수, 매개변수의 삭제 SyntaxError ▪️ 매개변수 이름의 중복 SyntaxError ▪️ with문의 사용 SyntaxError 🔻 strict mode 적용에 의한 변화 ▪️ 일반 함수의 this ..
생성자 함수 : new 연산자와 함께 호출해 객체(인스턴스)를 생성하는 함수 - Object, String, Number, Boolean, Function, Array, RegExp, Date 생성자 함수 등이 있음 → 객체 생성❗️ new Object() /* 빈 객체 생성 */ new String() /* String 생성자 함수에 의한 String 객체 생성 */ new Number() /* Number 생성자 함수에 의한 Number 객체 생성 */ const a=new Boolean(true); typeof a; /* object */ ✅ 생성자 함수는 별다른 이유가 없다면 잘 사용하지 않음 ❗️ 객체 리터럴에 의한 객체 생성 방식은, 구조가 동일함에도 같은 프로퍼티와 메서드를 기술해야 함 > ..